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빠르게 실패하기 인생 성장 작은 행동의 힘

반응형

 

 

과감하고 빠르게 실패하라

Fail Fast, Fail Often 성공하는 사람은 실패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최대한 빨리 실패를 없애버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성공하는 이들은 재빨리 행동을 취합니다. 그들은 실수나 실패를 피할 방법을 찾는 것에 많은 시간을 쓰지 않습니다. 오히려 능력과 지식의 한계를 드러낼 기회를 열심히 찾아다닙니다. 이 행동은 그들이 무엇이든 빨리 배우게 만듭니다. 그리고 미숙한 준비는 성장의 최상의 조건임을 깨닫게 합니다. 반대로 실패하는 사람의 공통점은 준비가 덜 된 것을 시작하지 않아야 할 신호로 여깁니다. 시간을 준비화 계획에 쏟아붓는 것입니다. 스타벅스를 창립한 하워드 슐츠는 스타벅스를 세울 당시 이탈리안 커피숍을 모델로 삼았습니다. 미국 소비자들에게 근사하고 새로운 경험을 선보이겠다는 설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스타벅스는 슐츠가 생각했던 대로의 콘셉트와 같지 않습니다. 처음 스타벅스는 이태리어로 된 메뉴판에 오페라 음악이 흘러나왔고 제대로 앉을 의자도 없었고 무지방 우유는 취급하지 않았습니다. 스타벅스는 여러 번의 실험과 개선 끝에 비로소 지금의 모습을 갖췄습니다. '더 빨리 배우기 위해선 더 빨리 실패하라'라는 실리콘 밸리 사업가들이 말하는 실패 하며 전진하기와 같은 의미입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실패를 성공할 수 있는 비즈니스의 기본으로 여깁니다. 신제품을 가능한 한 빨리 보여주고 피드백을 얻어 취약점을 파악하라는 의미입니다. 

 

 

자신감 있는 초보자

훌륭한 뮤지션이 되고 싶다면 먼저 엉망인 음악을 수없이 연주해 봐야 합니다. 언제나 탁월한 결정을 내리는 비즈니스맨이 되고 싶다면 먼저 진부한 결정을 내리는 일정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소설을 쓰고 싶다면 먼저 하찮은 이야기를 써 봐야 합니다. 영어를 유창하게 하고 싶다면 형편없는 영어를 많이 내뱉어야 합니다. 진정한 예술가가 되고 싶으면 먼저 어설픈 예술작품을 창조해봐야 합니다. 수학 문제를 잘 풀고 싶다면 먼저 간단한 수학 문제를 풀고 해결해야 합니다. 우리는 언젠가 실수합니다. 실수를 한다고 죽지는 않습니다. 실패를 피하려는 삶을 살려고 노력한다면 새로운 경험과 성장에 대한 기회를 차단하는 꼴이 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능력이나 재능이 의심되면 잘하는 것만 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입니다. 자신의 전문성이나 능력에 의구심을 던질만한 행동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나의 활력을 앗아갑니다. 실패에 수반되는 불쾌한 감정들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면 그 반대의 인생인 다람쥐 쳇바퀴 도는 인생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이기기 위해서는 첫째, 두려움의 본질을 파악해야 합니다. 늘 해보고 싶었던 일이지만 두려워서 시도하지 않았던 파악하는 것입니다. 둘째, 사고를 전환하는 것입니다. 최대한 빨리 실패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보는 것입니다. 셋째, 먼저 시도하는 것입니다. 직접 뛰어들어 시도해보고 실수하면서 그 일을 즐겨보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입니다. 넷째, 실패하면서 나아가기 앞에서 시도한 도전적인 행동들에서 배울 점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다섯째, 다음 도전 과제를 찾는 것입니다. 실행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음 목표를 찾아보는 것입니다. 

 

 

큰 성공만을 목표로 할 때 문제

직장에서 사람들을 창의적으로 만드는 요소에 대해 연구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테레사 아마빌레 교수는 회사가 직원들에게 큰 부담감을 주는 환경일수록 직원들의 창의력을 떨어뜨린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려는 직원들은 창의성과 관련 업무에서 가장 낮은 태도를 보였고 큰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합니다. 아마빌레는 연구를 통해 일에 대한 동기를 잃지 않으려면 창의력을 발휘할 기회가 자주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습니다. 그녀는 관리자들에게 도전적인 큰 목표가 직원들의 창의성, 생산성을 끌어올릴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에서 벗어나길 당부했습니다. 큰 성공을 추구하는 것의 또 다른 문제는 다른 선택을 생각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점이었습니다. 꿈꾸던 집을 마련하거나, 회사 매출이 두 배로 늘거나, 월 1000만 원을 버는 것은 분명 큰 성공입니다. 그러나 미래에 이루고 싶은 큰 성공에만 사로잡히면 동기를 자극하는 매일의 즐거움과 성취를 무시해버리는 셈이 됩니다. 다른 가능성은 보지 못하게 만듭니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원하지 않는 미래의 목표를 위해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작은 목표를 하나씩 달성해 보는 것이 서두르며 큰 목표를 세우는 것보다 중요합니다. 오늘 할 일을 정해 그만큼만 달성해보는 것입니다. 작은 성공의 위력은 대단합니다. 일단 작은 성공 하나를 성취하게 되면 그다음 작은 성공을 얻기 위한 태도가 저절로 갖춰집니다. 

 

 

 

 

 

 

반응형